
방금 메일이 왔습니다 :) 구글은 이런 칭찬이 후하네요 ㅎㅎㅎㅎ Google 검색 실적 블로그 만든 일자 : 2024.01.16 애스센스 승인 일자 : 2024.02.13 거의 하루에 1일 1 포스팅을 유지 중이다. 아직은 글쓰기 연습 중이지만 그래도 잘하고 있다고 칭찬받는 느낌이라 ,,, 좋네요 검색해 보니 주기적으로 보내주는 것 같던데 다음 28일 목표는 Google 검색 실적 60회로 잡아야겠어요! 구글서치콘솔에 들어가니 딱 30회라고 메일이 날아오는 게 아니라 40회 기준 중에 35회를 넘겼지만 40회가 아니라 30회로 메일이 온 것 같아요! 살짝 나태해졌는데, 메일 보면서 다시 기분이 좋아졌네요 다음달에 비교해보려고 포스팅으로 남겨봅니다. Google에서 제 글 클릭해 주신 분들 감사합니다! ㅎ..

□ 사업목적 취학·구직 등의 사유로 부모와 떨어져 주거지를 달리하는 만 19세~30세 미만의 미혼청년의 임대료 부담을 완화 □ 지원금액 (광역시 기준) 1인 216,000원, 2인 240,000원 3인 287,000원, 4인 333,000원 □ 지원기간 사업 운영기간 : 2024.01.01~2024.12.31 사업 신청기간 : 2024.01.01~2024.12.31 □ 규모 주거 급여 수급자 및 구거급여 수급자와 세대 분리한 청년 □ 조건 의무자나 소득이나 재산 등과 상관없이 신청가구의 소득인정액을 기준 신청방법 □ 신청 절차 신청 및 접수 (동 행정복지센터에서 현장접수 또는 복지로 온라인 신청) - 소득, 재산조사 (구청) - 주택조사 (LH) - 보장결정 및 급여지급 (구청) □ 심사 및 발표 관할 ..

얼마 전 제가 스마트스토어를 위해 사업을 냈어요. 그러다 K-Startup 홈페이지를 알게 되었습니다. K-Startup 바로가기 살펴보던 중 2024 경력단절 여성 창업케어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 경력단절! 여성 창업케어 프로그램! 을 발견했습니다. 제가 워킹맘이다 보니 경력단절에 대한 두려움이 늘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볼게요. 「2024 경력단절 여성 창업케어 프로그램」 신청방법 혁신적인 유망 벤처창업 아이디어를 보유한 경력단절 여성 창업자를 육성하기 위한 『2024 경력단절 여성 창업케어 프로그램』 참가자를 다음과 같이 모집하오니 성공창업을 꿈꾸는 경력단절 여성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사업목적 ◦ 전문성을 보유한 경력단절 여성들의 유망 벤처창업 아이디어를 발굴하여 창업 단계별..

오긴 오는군요... 2년 만기가... 2022년 2월 22년 그 당시 떠들썩했던 [ 청년희망적금 ] 저도 그때까지만 해도 '청년'이였고 그 전년도가 육아휴직으로 급여가 육아휴직 급여밖에 없어 억지로 끼여서 가입했었습니다. 청년희망적금이란? 정부가 저소득 청년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출시한 상품은 당시 기본 +우대이자율 5~6% + 정부 저축장려금 4% 여기에 비과세 혜택까지 더해 거의 10% 가까운 수익률을 제공했습니다. 월 50만원 *24개월 =원금 1,200만 원 + 만기기자 약 74만 원 + 정부 저축장려금 36만 원 비과세 =13,100,000 (은행에 따라, 월초/월말 가입자에 따라 오차는 있음) 도중에 인플레와 함께 고금리 시대가 도래하면서 어려운 경제 상황 등으로 약 30% 가까운 청년..

정말 얼마나 기다렸나요 ㅎㅎ 세탁하고 젖은 빨래를 건조기에 다시 옮기고.. 힘들었습니다 건조기랑 식세기가 필수 가전으로 자리 잡으면서 이제는 엄마들의 꿈이 세탁기+건조기, 빨래 개주는 기계까지 오게 되었죠? 저도 나오면 무조건 사야지 했던 가전이 세탁기+건조기입니다. 오늘 뉴스를 보다가 [삼성전자 '비스포크 AI콤보' 이르면 이달 말 국내 출시] 이 헤드라인을 보고 너무 설레었습니다. 비스포크 AI 콤보 기사 확인해 보니 삼성전자가 올해 초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4'에서 선보인 인공지능(AI) 기반 일체형 세탁건조기 '비스포크 AI 콤보'가 이르면 이달 말 국내에 출시될 것으로 보인다. 이런 내용이 있더라고요! 그래서 바로 삼성전자 홈페이지 삼성닷컴으로 달려갔습니다. https://..

"한국 생활이 처음이라면 이 책을 열어보세요!" [국내에 외국인 비중이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의 '다인종. 다문화 국가' 기준인 5%에 바짝 다가섰다. 최근 외국인 근로자 입국이 빠르게 늘고 있어, 곧 명실상부한 다인종 국가에 진입할 전망이다. 일찍부터 이민을 받아들인 북미. 유럽 등 선진국을 제외하고 외국인 비중이 5%를 넘는 나라는 드물다. 빠르게 늘어나고 있는 외국인 비율때문인지 여성가족부에 들어갔더니 "한국 생활이 처음이라면 이 책을 열어보세요!" 문구와 함께 [쉬운 한국어로 쓴 한국생활 안내] 를 제공하고 있었습니다. https://www.mogef.go.kr/ 어디서 볼 수 있나요? ○ 다문화 가족 종합정보 누리집 '다누리' www.liveinkorea.kr 다문화 가족지원 포털 다누리 ..